본문 바로가기

연차수당 계산법 및 계산기 사이트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 계산기

안녕하세요. 연차수당 계산법 및 계산기 사용정보를 전해 드릴 인포야 입니다.

 

연차수당은 말 그대로 내 연차에 해당하는 수당을 뜻하는데요. 생각보다 다양한 조건들이 붙어 있어서 정작 내 연차수당의 정확한 금액을 계산해 보는것이 생각보다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이 곳에서 소개해드릴 연차수당 계산기 사이트를 이용해 보시면 복잡하게 머리쓰실 필요없이 간단하게 연차수당을 계산해 주고 있으니, 아래 사이트를 이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연차수당 계산법 및 계산기 사이트

 

연차수당 계산기를 소개하는 사이트들은 노동OK, 사람인, 유리지갑 등 굉장히 여러 종류의 사이트가 존재합니다. 

그 중 오늘 소개해드릴 연차수당 계산기 사이트는 위에 사이트들 보다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실 수 있는 계산기 사이트 입니다. 자신의 입사일, 근무시간, 월 기본급 정도만 간단하게 입력하시면 연차일수, 월 근로시간, 연차수당 금액까지 모두 계산을 해주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해당 계산기의 자세한 사용방법 및 절차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사이트 주소를 가지고 있으니 구글에서 검색 후 접속해 주도록 합니다.

 

 

해당 사이트 접속 시 아래와 같이 연차수당 계산기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먼저 노출되는데요. 기본적으로 자신의 통상임금과 미사용한 연차일수로 계산되어진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하단으로는 연차수당 계산기를 바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일수를 입력하는 영역 / 근무시간을 입력하는 영역 / 급여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영역으로 세 단계로 나눠져 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차례대로 일자영역을 먼저 입력해 보겠습니다. 연차 계산 기준은 입사일과 회계년도 중 선택이 가능 합니다.

 

 

 

다음은 입사일자 및 계산일자를 선택해 주는데요. 계산일자는 오늘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입력이 되어 있으며, 달력 형태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연차수당 계산을 위해 사용한 연차일수도 입력해 줍니다.

 

 

다음은 근무시간 영역 인데요. 1주 근무시간을 선택입력과 직접입력 중 원하시는 방식을 선택해 줍니다.

 

 

그 뒤 일 근무시간을 입력해 주는데요. 선택입력에서는 1~8시간 까지만 선택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주 근무일수 인데요. 1~7일중 본인이 근무하시는 근무 일수를 선택해 주도록 합니다.

 

 

다음은 급여관련 영역입니다. 월기본급, 월 고정수당 합계, 연간상여금 합계를 입력해 주도록 합니다.

 

 

 

그 뒤 가장 하단에 있는 계산하기 버튼을 선택해 줍니다.

 

 

그러면 해당 계산기 우측으로 내가 입력한 정보를 대상으로 시간당 통상임금, 1일 통상임근, 연차수당을 아주 자세히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 계산방법

 

이렇게 간편하게 연차수당 계산기를 이용해 보셨다면 해당 계산기는 어떠한 공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궁금하실 수 있을텐데요. 연차수당 계산방법은 일반적으로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시간급 * 1일 근무시간) * 소진하지 않은 연차일수 로 계산되어 진다고 합니다.

 

간단한 예시(잡코리아 참고)

 

지금까지 연차수당 계산기 및 계산방법을 자세히 소개해 드려봤습니다. 오늘 정보도 유익한 정보가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